2025년 5월 29일(목),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에서 규제과학 단기교육(식품 분야)이 개최됐다.
이번 교육은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이해, 식품분야에서의 응용 및 글로벌 규제 동향, 규제과학 기반 기능성 원료 개발 및 서비스 전략에 대한 교육을 통해 식품 규제과학 측면에서의 이해를 돕고자 재단법인 한국규제과학센터와 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와 중앙대학교 식품안전규제과학과가 공동으로 개최했다.
프로그램①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이해, 식품 분야에서의 응용 및 글로벌 규제 동향(중앙대학교 식품안전규제과학과)
▲ 개회 및 인사말(전향숙 중앙대학교 식품안전규제과학과 교수)
▲ 유전자 편집 기술의 과학적 원리 및 기술동향(서승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)
▲ 유전자 편집 기술 기반 R&D 및 제품화 사례(박희영 식물생명공학정보원 대표)
▲ 유전자 편집 기술 적용 식품원료의 안전성평가 사례(윤선경 바이엘크롭사이언스 상무)
▲ 유전자 편집 기술에 대한 글로벌 규제 정책 및 제도 현황(강윤숙 중앙대학교 교수)
프로그램② 규제과학 기반 기능성원료 개발 및 서비스 전략(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)
▲ 프로그램 소개(김영준 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 교수)
▲ 개별인정형 인허가 기준에 대한 산업체 적용과 규제제안(정판영 노바렉스 상무)
▲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실태 및 인사이트(홍준배 한국소비자원 안전감시국장)
▲ 바이오헬스 서비스 및 맞춤형 제품에서의 식품영양성분 DB 활용(홍지연 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 교수)
▲ 식품 영양성분 DB 기반 영양성분 섭취량 평가 프로그램 적용(박정원, 양유진 고려대학교 연구원)